
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
이주휴 ZUHYU
허무가 지배하는 시대에 희망과 욕구를 펼쳐보려고 한다. 사회에서 개인이라는 한계를 벗어나, 나만의 공간에서 자유롭게 살아간다. 작업을 통해 내면의 욕망, 열망, 소망과 같은 감정을 탐구하며, 현실의 규율과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상상 속에서 자아를 실현한다. 사람 형태의 티미와 고양이 같은 지미가 나누는 대화를 통해 ‘사회와 개인’과 ‘허구 속 공간에서의 현대사회’를 동시에 이야기한다.
In an age dominated by emptiness, I strive to unfold hope and desire. Breaking free from society’s limits on the individual, I live freely in my own space. Through my work, I explore emotions such as inner desire, aspiration, and longing, realizing myself in an imagined world. The conversations between Timmy, in human form, and Jimmy, cat-like, weave both ‘society and the individual’ and ‘modern society within a fictional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