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
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

김수진 Kim Sujin

<연주된 시간의 기록> 연작은 유한한 생명체의 시간을 연주된 하나의 노래로 간주하고 그 다채로운 흔적을 기록하고자 한 작업으로, 모두 실제하는 특정 장소가 모티브가 되었습니다. 하나의 풍경은 다중의 초상으로, 일그러지거나 뭉개진 변형된 모습은 각자의 시간에 따라 움직이며 변화하는 생명체의 속성을 담아내고자 한 것이며, 우리 역시 자연 속에 버무려진 영속할 존재라는 메시지를 전하고자 합니다. 우리는 모두 다른 시간을 점유한 생명체들과 함께하거나 마주하며 그 기억의 흔적을 안고 살아갑니다. 우리가 흔적을 기억하는 방식은 어쩌면 모든 존재의 역사를 들여다보고, 그 안에서 나 자신을 찾는 일일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 안에서 우리의 내일의 초상을 찾게될지도 모르겠습니다.

The series "Record of Time Played" is a work that considers the time of a finite creature as a song played and tries to record its colorful traces, and a specific place in which all of them are real became the motif. One landscape is multiple portraits, and the distorted or crushed appearance is intended to capture the properties of living things that move and change according to each time, and I would like to convey the message that we are also a permanent being mixed with nature. We all live with or face living things that occupy different times and carry the traces of those memories. Perhaps the way we remember our traces is to look into the history of every being and find ourselves in it. And we may find our tomorrow's portrait in it.

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