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
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

강지향 Kang Jihyang

작가의 작업은 전통 고배(高杯)의 조형미에서 출발한다. 현대 도예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온 ‘굽’이라는 구조적 요소에 주목하고, 고배의 높고 긴 굽을 모티브로 삼아 굽 자체를 중심적 조형 요소로 끌어올리는 시도이다. 둥글고 부풀려진 굽의 형태는 단지 지지구조가 아니라, 시각적 리듬과 조형적 긴장감을 형성하는 핵심 축으로 작용한다. 굽을 통해 전통의 깊이와 현대의 미감 사이의 간극을 연결하고, 도자기의 조형 언어를 보다 입체적이고 다양하게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한다.

The artist's work begins with the formative beauty of the traditional gobae (tall cup). Focusing on the foot (or base)—a structural element that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in contemporary ceramics—the artist draws inspiration from the tall and elongated foot of the gobae, elevating it to a central sculptural component. The rounded and inflated shape of the foot functions not merely as a supporting structure but as a core axis that creates visual rhythm and sculptural tension. Through the foot, the artist bridges the gap between the depth of tradition and the aesthetics of modernity, proposing new possibilities for expanding the formal language of ceramics in more dimensional and diverse ways.

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