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
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

강유진 Kang Yujin

풍경 속 등장하는 소재의 형태나 상징성을 통해 현재상황을 드러내고 먼 미래의 풍경을 암시하며 어떻게 보면 판타지 스러운 장면들이 후엔 현실이 될 수 있음을 드러냅니다. 현재는 기후위기가 대두되는 환경에 홍수로 잠겨버린 세상, 범람하는 자연 속 우리의 의식을 고찰하도록 하는 작업에 주목합니다.

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예술공습경보